간단한 5단계로 wordpress 워드프레스 설치방법

워드프레스 설치방법 5단계

워드프레(WordPress) 웹사이트 제작 및 관리를 위한 대표적인 오픈소스 내용관리시스템(CMS)이며, 매우 유연하고 사용하기 쉽습니다. 이번에는 워드프레스 블로그 만들기를 하기 위하여 간단한 5단계로 wordpress 설치 방법에 대하여알아보겠습니다.

워드프레스 설치방법

1. 워드프레스 설치 전에 알아야 할 사항

  • FTP 클라이언트: 워드프레스를 웹서버에 업로드하기 위해서는 FTP 클라이언트가 필요합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FileZilla, Cyberduck, WinSCP 등이 있습니다.
  • 웹호스팅: 워드프레스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웹호스팅 서비스를 이용해야 합니다. 물론,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자신이 선호하는 호스팅 서비스를 선택하려면 이슈 사항을 참고하여 결정하면 됩니다.
  • FTP 계정 정보: 웹호스팅 서비스 제공 업체로부터 FTP 계정 정보를 받아야 합니다.

2. 워드프레스 다운로드 및 압축 해제

  • 워드프레스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최신 버전의 워드프레스를 다운로드합니다.
  • 압축이라는 파일을 풀면 바로 작동
  • 웹서버에 워드프레스를 업로드하려면, 다운로드한 파일을 컴퓨터의 로컬드라이브에 저장한 후, FTP 클라이언트를 사용하여 파일을 웹호스팅 서버로 업로드합니다.

3. 워드프레스 설치

  • FTP 클라이언트를 사용하여 웹호스팅 서버에 업로드한 워드프레스 파일을 바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웹호스팅 업체로부터 제공받은 FTP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웹호스팅 서버로 로그인하면 됩니다.
  • 웹호스팅 계정에 로그인하면, 웹호스팅 패널에서 사용자는 MySQL 데이터베이스 생성을 위한 스크립트 실행을 선택해야 합니다.
  • 데이터베이스 이름, 사용자 이름, 암호, 데이터베이스 호스트 정보를 입력합니다. 이 정보는 나중에 워드프레스 구성에 필요합니다.
  •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작성한 후, 웹호스팅 패널에서 phpMyAdmin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생성한 후, FTP 클라이언트를 사용하여 워드프레스 파일을 업로드하고, FTP 계정 정보를 사용하여 웹호스팅 서버에 로그인합니다.
  • 웹호스팅 서버에 로그인한 후, “wp-config.php”파일을 열고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입력합니다.
  • “wp-config.php” 파일을 저장한 후, 터미널에서 설정한 워드프레스 관리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로그인합니다.

4. 워드프레스 에센셜 서비스 설치

  • 워드프레스 설치를 완료한 뒤, 사용 가능한 기본 서비스는 WordPress SEO Plugin, Jetpack Plugin 등이 있습니다. 필요한 경우 다운로드를 받아서 설치하면 됩니다.

5. 워드프레스 사용을 위한 준비

  • 워드프레스 사이트의 외관과 기능은 선택한 워드프레스 테마에 따라 다릅니다.
  • 테마는 외형과 레이아웃이미지들을 다루어준다.
  • 테마를 사용하려면, 앞서 업로드한 워드프레스 파일을 활용하여 웹호스팅 서버와 연결한 후 새 테마를 설치합니다.
  • 다양한 무료 워드프레스 블로그 테마와 유료 테마가 있으며, 원하는 테마를 찾아 설치하면 됩니다. 또한 필요한 경우, 테마를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설치 방법 요약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는 과정은 무척 간단합니다.

블로그를 시작하는 것은 워드프레스를 다운로드 받아 압축해제하면 되고, FTP 클라이언트를 이용해 웹호스팅 서버에 업로드하면 됩니다.

이후, phpMyAdmin을 이용해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생성하고 wp-config.php 파일에서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입력한 후, 웹호스팅 패널에서 워드프레스 관리자 계정을 만듭니다.

마지막으로, 스타일과 활동 로그 보기 등 기능을 더욱 다양하게 커스터마이징하면 됩니다.

워드프레스 설치방법 참고자료

워드프레스(WordPress) 설치 및 다운로드 총 정리

초보자 분들을 위한 워드프레스 설치 방법 [호스팅신청,FTP 설치,폴더권한 변경]

wordpress로 데이터를 내보내는 방법

워드프레스 활동 로그를 설정하고 보는 방법